검색
[소셜 코리아] 고소득 저위험 의료에 몰리는 의사들... 정부 방임이 빚어낸 참사
[소셜 코리아] 하마스 공습 배경 직시해야... 반이스라엘이 반유대인은 아니다
[소셜 코리아] 민주주의와 보편적 인권에 보수·진보 구별 없어야
[소셜 코리아 연속기획] ③ 인공지능을 둘러싼 논란 - 고삐 풀린 AI, 더 늦기 전에 규제하자
[소셜 코리아] '실업률 감소'에 숨겨진 비밀... 1조 예산만큼 조직문화 개선이 중요
[소셜 코리아] 청년들 "힘들 때 도와줄 사람이 없다"... 국가는 왜 존재하는가
[소셜 코리아] 젊은층 중심 진보운동 연계... 재미 한인도 '한반도 평화'에 역할 해야
[소셜 코리아] 문 정부, 평화 추구하며 국방예산 역대급... 달라진 환경에 맞는 전략 모색해야
[소셜 코리아] 북송·납북 어부 문제, 편 가르기가 드러낸 분단의 모순
[소셜 코리아 연속기획] ② 빅테크의 표적광고와 개인정보 보호
[소셜 코리아] '리더십 한계' 미국, 중-러와 협력 필요... '갈라치기 외교' 위험성 주목해야
[소셜 코리아 연속기획] ① 플랫폼의 독과점 실태와 규제
[소셜 코리아] 일과 삶의 균형 찾는 '시간의 정치'가 필요하다
[소셜 코리아] 환자의 자기결정권은 의료비 걱정 없을 때 의미 있어
[소셜 코리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봉쇄 정책이 문제... 비극적 현실 외면하지 말아야
[소셜 코리아] 극단적 주장만 난무하는 사회... 지식인 역할·플랫폼 혁신에서 희망 찾아
[소셜 코리아] 교육비 깎고 문화예술 지원 끊어... 공동의 가치는 소수의 이윤보다 중요하다
[소셜 코리아] 대기업 위주 성장 방식 한계... '소부장' 키우고, 복지 늘리고, 정치 바꿔야
코로나19 팬데믹은 정치, 경제, 사회 모든 분야에서 전환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제도는 이미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지만, 우리는 급격한 전환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를 제안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더 암담한 현실은 근거가 부족한 주의·주장이 대안이라는 이름으로 유포되면서 정작 필요한 논의가 공론화되지 못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소셜 코리아'는 대전환의 시대에 한국 사회가 지향해야 할 대안 사회의 모습을 '정확한 현실 인식' '현재 정책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실현 가능한 정의로운 대안'을 공유하는 열린 플랫폼을 통해 만들어내려고 합니다. 대안 담론의 공론화를 넘어 주류화를 지향합니다.
'소셜 코리아'는 재단법인 공공상생연대기금이 상생과 연대의 담론을 확산하고자 학계, 시민사회, 노동계 등 각계각층의 다양한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플랫폼입니다.